mingkeMay 13, 2024FastAPI - Supabase Storage 사용해보기지난번 포스팅에서 FastAPI와 Supabase DB를 사용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upabase에서 제공하는 Storage 서비스를 사용해보겠습니다. AWS S3와 동일하지만 1GB까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Supabase에서 제공하는 Python SDK를 사용하면 아주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FastAPISupabase
mingkeMay 11, 2024FastAPI - Supabase DB 사용해서 개발해보기Supabase는 PostgreSQL을 기반으로 한 오픈 소스의 Backend-as-a-Service(BaaS) 플랫폼으로, Firebase에 대한 오픈 소스 대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Supabase에서 제공하는 DB와 Storage를 FastAPI와 함께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FastAPISupabase
mingkeMay 9, 2024FastAPI 이미지 S3 업로드 (클라우드 스토리지)지난번 포스팅에서 FastAPI 이미지 업로드 기능에 대해서 다뤘습니다. 단순히 업로드 받아서 서버의 파일시스템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했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표적인 클라우드 스토리지인 S3에 저장하는 방법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AWSFastAPI
mingkeMay 7, 2024FastAPI 이미지 업로드 (feat. 이미지 최적화)오늘은 FastAPI에서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하는 방법을 주제로 포스팅을 해볼까합니다. 최근 있었던 작업중에 클라이언트에서 업로드한 이미지를 받아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것이 있었는데요. FastAPI로 작업했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FastAPI로도 하는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FastAPI
mingkeMay 3, 2024FastAPI CLI 업데이트 version - 0.111.0오늘보니 FastAPI의 CLI 기능이 업데이트 되었더라구요. FastAPI에 CLI가 없어서 좀 아쉽다는 생각이 있었는데 0.111.0 버젼에서 추가되었습니다.FastAPI
mingkeMay 1, 2024FastAPI Swagger 수정하기FastAPI의 장점중의 하나는 자동으로 Swagger를 생성해준다는 것입니다. 기본 세팅이 되어 생성이 됩니다. 물론 개발자가 직접 수정할 수도 있습니다. 사용하다보면 수정해보고 싶은 마음이 생길 수도 있는데요. html, css를 직접 수정해서 UI를 변경할 수도 있는데 저는 html,css를 잘하는 편이 아니기 때문에,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을 이번 포스팅에서 다뤄보겠습니다.FastAPISwagger
mingkeApr 30, 2024FastAPI Middleware 적용 방법이번 포스팅에서는 FastAPI에서 Middleware를 적용하는 방법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방법이 한가지가 아닙니다. 어려운 방법은 없으니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FastAPI
mingkeApr 24, 2024FastAPI - JWT 로그인 쿠키 사용오늘 다뤄볼 내용은 쿠키를 사용해서 JWT 로그인을 구현해보는 것입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JWT 인증을 구현해서 Response Body에 토큰을 담는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FastAPI
mingkeApr 15, 2024FastAPI - Websockets 사용해보기 (with Redis)예전에 했던 사이드 프로젝트 중에서 WebSocket을 사용했던 적이 있습니다. FastAPI를 이용해서 websocket을 구현했었는데요. 아주 쉽게 구현이 가능해서 금새 만들었습니다. 그 방법을 이번 포스팅에서 공유해보려고 합니다.FastAPI
mingkeApr 9, 2024FastAPI 파일 다운로드 구현하기특정 데이터들을 Excel로 다운로드 하거나, 이미지들을 다운로드 하는 등의 요청이 있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FastAPI에서 파일 다운로드 방법을 이번 포스팅에 공유하고자 합니다.FastAPI